1. 준비 : https://shurs-island.tistory.com/13
2. case : https://shurs-island.tistory.com/17
3. 조립 : https://shurs-island.tistory.com/19
2019년 3월 현재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조립을 마치고 사용을 하려면.. 키 맵핑을 해야한다.
키 맵핑을 하는 방법은 아래 두 가지가 있는데 2번째는 아직 시도 중이다.
1. massdrop 에서 키 설정을 하고 .hex 파일을 다운받아 키보드에 넣어준다.
2. 리눅스 상에서 소스 파일에서 키 설정을 하고 컴파일하여 키보드에 넣어준다.
매크로 기능이 지원되는지 확인하기 위해
2.를 진행해보려고 massdrop에서 기본 키설정을 하고 소스를 다운 받았지만
avr-gcc라는 아트멜(?) AVR 용 컴파일러를 설치하지 않아서 아직 추가진행은 못하였다.
1. 설정만 진행하여도 일반 키보드처럼 사용이 가능하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1.
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한다.
- 키 맵핑
- 설정파일 적용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- 키 맵핑
https://www.massdrop.com/configurator/ergodox
위의 사이트에 접속하여 기본적인 키 맵핑을 한다.
몇 가지 tip을 설명하면..
- 기본 키 배열을 로드 할 수 있다.
붉은 색 네모처럼 먼저 "QWERTY"를 선택하고 "LOAD"를 누르면 위와 같이 키를 배열해준다.
- 특수 키의 경우는 마우스 오른쪽을 누르면 설정할 수 있다.
설절한 키를 "마우스 왼쪽버튼"으로 클릭한 후 "마우스 오른쪽버튼"을 누르면 위와 같은 메뉴를 볼 수 있다.
- Layer키를 설정할 수 있다.
이건 부가 설명이 좀 더 필요한데 위의 스샷의 메뉴에서 Layer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Toggle Layers : 해당 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 설정한 Layer의 키를 사용할 수 있다.
예를 들어 위의 스샷에서 "LAYER_TOGGLE_1"로 정한 키를 누르고 상태로 "1" 키를 누르면 "F1"이 눌린다.
- Push Layers : 해당 키를 한번 누르면 설정한 Layer로 바뀐다.
Push로 설정하면 왼쪽 붉은색 네모처럼 "+" 표시가 된다.
Pop Layers : Push 되었던 Layer를 날리는(?) 없애는(?) 역할을 한다.
Pop으로 설정하면 왼쪽 붉은색 네모처럼 "-" 표시가 된다.
나는 Push와 Pop이 많이 헷갈렸는데.. Pop을 누르면 layer가 튀어나오고 다시 Push를 누르면 layer가 들어가는 줄 알았는데
반대인 걸 보니 영어에 대한 이해가 낮은가 보다.. ㅡ.,ㅡ;;
그래서 layer 설정시에는 아래의 QWERTY 기본처럼 "Push / Pop" 을 같은 키로 설정하는 것이 헷갈리지 않고 좋다.
[+L1]키를 눌러서 function키를(F1/F2/F3...) 사용한 후 [-L1]를 눌러서 다시 "Layer 0"으로 돌아간다.
나는 일단은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.
Layer를 두 개만 사용하기 때문에 Toggle로 설정하였다.
[~L1]은 쉽게 말해 shift 키처럼 [Layger 1]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.
사용하면서 계속 바뀔 예정이다. 방향키가 불편한 편이라..
그 자리에 [Home]/[End]/[PgUp]/[PgDn]으로 채우고 방향키는 [Layer 1] 로 옮겨줘야하나...
자 그럼 상단 왼쪽의 버튼을 눌러 .hex 파일로 다운 받자.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- 설정파일 적용
설정파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래의 파일을 설치해야한다.
- arduino : https://www.arduino.cc/en/Main/Software
- Teensyduino 1.45 : https://www.pjrc.com/teensy/td_download.html
Teensyduino는 꼭 1.4.5 이상으로 설치할 것.
1.4.2 버전에서 설정파일을 적용하면 몇 몇 키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.
teensy를 실행하여 version을 확인했을 때 위와 같이 보여야된다.
설치가 끝났으면 teensy를 실행한다. 아이콘이 안보이면 아래 경로에 있을 것이다.
- C:\Program Files (x86)\Arduino\hardware\tools\teensy.exe
짠!
"File"글자 바로 아래 문서모양의 버튼(아래 스샷의 붉은색 네모)을 누르고 다운 받았던 .hex 파일을 선택한다.
아래 스샷의 붉은 색 네모의 버튼을 클릭하여 "AUTO Mode"를 활성화 시킨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2019년 3월 22일
아래의 버튼을 눌러서 적용하는 것을 딱 한번만 하는 방법이 있다.
아래와 같이 [Tennsy] 키를 하나 맵핑하는 것이다.
설정한 다음 앞으로는 바로 위 상황에서 [Teensy] 키만 눌러주면 버튼을 눌러준 것 같이 동작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오른쪽 키보드의 상단에 클립을 넣어 버튼을 "딸깍" 소리 및 느낌이 나게 눌러준다.
손이 못생겨서... .. 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누르자마자 화면을 보면 아래의 과정을 볼 수 있다.
위와 같이 "Reboot OK" 화면이 보이면 성공이다.
키 맵핑 적용 끝!!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여기까지만 진행해도 일반 키보드처럼 사용가능하다.
- 그러나 나는 매크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계속 -
'Keyboard & Mouse。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rathon 910 TR (0) | 2019.05.04 |
---|---|
체리 적축 G80-3494LYKO-2 & 수리 (0) | 2019.04.16 |
어고독스(ergodox) keyboard - 3。조립 (0) | 2019.03.14 |
어고독스(ergodox) keyboard - 1。준비 (0) | 2019.03.08 |
Logitech G9 Laser Mouse (0) | 2019.02.24 |